2022년 출산 지원금과 각종 혜택이 늘어났습니다. 그리고 정부 24 홈페이지의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이러한 임신/출산 관련의 대부분의 지원 사항을 한 번에 신청하여 편리합니다.
<목차>
- 국가지원금
- 전기요금 할인
- 농산물지원
- 원스톱 서비스
국가지원금
1. 첫 만남 이용권
-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부터(출생 신고 후 주민등록번호 부여받은 아동)
- 금액 : 200만 원 바우처 지급(국민행복카드 일시금 충전 카트 포인트 개념)
- 쌍둥이 400만 원, 세 쌍둥이 600만 원
- 신청기간 : 2022년 1월 5일부터
- 지급시기 : 2022년 4월 1일부터
- 바우처 금액 사용처 : 유흥, 사행, 레저업종 등 제외하고 대부분 업종 사용 가능
2.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
- 2022년 1월부터 단태아 100만 원, 다태아 140만 원
- 바우처 지급(국민행복카드 일시금 충전 카트 포인트 개념)
- 모든 의료비에 사용이 가능하며 2년 내 사용
3. 영아 수당
-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부터 생후 24개월 이내의 아동
- 가정 양육 시 현금지급 30만 원
- 어린이집 이용 시 바우처 지급 50만 원
- 신청기간 : 2022년 1월 5일부터
- 지급시기 : 2022년 1월 25일부터(매월 25일 지급)
4. 아동수당
- 만 8세 미만 아동
- 매월 10만 원 현금 입금
- 신청기간 : 2022년 2월 중
- 지급 시기 : 2022년 4월 25일 부터(4월 지급시 1~3월 소급적용 지급)
출산가구 전기요금 할인
- 대상 : 주민등록표 상 출생일로부터 3년 미만 영아가 포함된 가구
- 월 전기 요금 30% 할인, 월 1만 6천 원 한도
- 신청 방법 : 한전 고객센터(국번 없이 123) 또는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
- 신청 이후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한번 통보해주는 것이 좋음
- (주의) 소급지원이 안되니 아기가 태어나면 바로 할 것, 이사를 해도 재 신청
농산물 지원
- 12개월 동안 48만 원 상당의 친환경 농산물 공급사업(20%는 본인 비용 부담)
(5만 원어치 사면 1만 원은 본인이 부담해서 결제 필요)
- 대상 : 임산부 및 출산 후 1년 이내 산모
- 신청 방법 : 주소지 주민센터 방문 or 홈페이지 신청
-(주의) 사는 곳마다 신청 시기 방법 등이 상이하고 매년 선착순 지원이기 때문에 미리 주민센터를 통해 알아두는 편이 좋다.
원스톱 서비스
- 임산부가 보건소, 주민센터 등 모든 행정업무를 한 번에 정부24(온라인)이나 보건소, 주민센터(오프라인)을 통해 한번에 신청 할수 있다. 위에서 소개한 대부분의 내용을 한번에 신청 가능하다.
<정부 24 홈페이지>
'관심있는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'22년 2월부터 적용! 신속항원검사 방법, 비용 정리 (0) | 2022.02.02 |
---|---|
2022년 음식물 처리기 종류와 추천 순위(종류별 Top 3) (0) | 2022.01.01 |
2021년 연말 인사 문구, 2022년 새해 인사말, 이미지 카드 모음 (0) | 2021.12.28 |
2021년 크리스마스 대체공휴일 적용 여부(+ 2022년 공휴일) (0) | 2021.12.11 |
[디즈니 플러스] 만달로리안 재미있는 정보, 장난감, 시즌3에 대해 (0) | 2021.11.14 |
댓글